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야기

자고 싶은데 잠이 안와! 그 원인을 다섯 가지로 분류

by 여행을 떠나 2023. 5. 29.
728x90
반응형

온몸은 일에 지쳐, 생활에 지쳐서 물 먹은 솜뭉치처럼 무겁지만 정신만 또렷해서 잘려도 시도해도 좀처럼 잠이 들수가 없어도 정신적, 육체적으로 힘들지 않습니까? 병원에 가봐도 딱히 뚜렷한 병명도 없이 괜찮다고 하고 스트레스를 줄여라, 일을 줄여라마 외치고 있고 어디에 하소연 하기도 힘들고, 충분한 숙면을 취하지 못해서 낮에는 하품과 무기력감으로 모든 일이 힘들어지는 경우를 현대인들은 한두번 겪었을 것입니다. 한두번으로 끝난다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삶의 질이 너무 안 좋아집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잠을 자지 못하는 원인에 대해서 한번 파 볼까 합니다. 

잠자리에서 쉽게 자지 못학고 뒤척이는 사진

 

1. 잠 자고 싶은데 잠 잘수 없는 원인

1. 취침 시의 정신적 신체적 상태

이불에 들어갔을 때의 마음과 신체 상태가 잠이 오지 않는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마음 상태로서는 스트레스나 고민거리가 있거나 자극을 받았을 때에 그렇지요.  예를 들면, '자기 직전에 본 드라마가 재미있고 흥분했다' 등의 긍정적인 자극일지라도 눈을 감아도 잠을 잘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체 상태로는 취침 전에 식사를 하고 내장이 활동하고 있다, 커피 등으로 카페인을 많이 섭취하고 있다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또 자기 1~2시간 전에 식사를 한다, 자기 직전에 목욕을 하고 따끈따끈한 채 이불에 들어간다든가 하는 생활습관은 수면에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

 

인간의 신체는 체온을 낮추고 대사를 떨어뜨림으로써 잘 준비를 합니다. 따라서 신체의 심부 온도가 내려가지 않으면 좀처럼 잠들 수 없습니다. 특히 겨울에는 목욕을 해서 몸을 따뜻하게 한 다음에 잔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 목욕으로 인해서 몸속 깊은 곳의 체온이 0.5~1℃ 올라가면 올라간 만큼 내려갈 때까지 잠을 못 잘 수도 있거든요. 여름에도 너무 차가운 물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가볍게 샤워를 하고 잠을 취하면 보다 빨리 잠에 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

2. 낮의 정신적, 신체적 상태

사실 밤뿐만 아니라 낮 시간을 보내는 방법도 잠자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낮에 운동이 너무 부족하거나 햇빛을 받지 않거나 낮잠을 자고 있으면 밤잠이 잘 오지 않습니다. 또한 낮에 강한 스트레스를 받아 스트레스가 쌓인 상태에서도 잠이 잘 오지 않는 영향을 미칩니다.

 

3. 숙면환경

방이 밝다, 소리와 냄새가 신경 쓰인다, 침구가 맞지 않는 등 잠잘 때 주변 환경도 잠자기에 영향을 미칩니다.또한 여행지 등 평소와 환경이 바뀌면서 잠들기가 어려워지는 사람도 있습니다.

 

 사람마다, 안정되는 환경은 다릅니다. 일반적으로는 조용한 편이 잠들기 쉬운 이미지이지만, 그 중에는 '라디오나 음악 등의 소리가 있는 편이 안심하고 잘 수 있다'는 사람도 있고 베개나 이불 등 침구는 좋은 것을 사용하는 것보다 '맞지 않는 것을 사용하지 않는다'가 중요합니다.

 

4. 전날 밤의 수면 상태와 현재의 몸의 컨디션

전날 밤을 새면 다음날은 푹 잘 수 있듯이, 전날의 수면이 충분하지 않으면 다음날은 보충하려고 하는 것이 생명을 지키기 위해 발달해 온 수면 본연의 기능입니다. 또 그날의 몸의 컨디션에 따라서 잠이 안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5. 수면 습관

의외로 알아채기 어려운 게 수면 리듬과 휴일에 꼬박 하루 자버렸다' 등 생활 리듬이 흐트러지면 잠자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블루 먼데이는 이 수면-각성 리듬의 혼란이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 

 

2. 알아두면 좋은 수면 메커니즘과 불면증이 몸에 미치는 영향이란?

머리속의 메카니즘 사진

원래 수면은 몸과 마음에 어떤 역할을 미치는 것일까요? 수면 메커니즘과 수면 부족이 지속될 경우 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말해 보려 합니다. 

 

728x90

1. 알아두고 좋은 수면의 기초지식

수면에는 대뇌를 쉬고 유지 보수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집중력과 주의력, 기억력, 상상력을 담당하는 전두엽이라는 부분인데 인간은 다른 동물보다 전두엽이 크기 때문에 창의적인 일을 할 수 있습니다.그런 전두엽은 수면에 의해서만 유지보수가 됩니다.수면은 인간의 뇌 활동에 필수적인 것입니다.

뇌는 쉬는 동안만 노폐물이 배출됩니다. 그러니까 계속 생각을 하다 보면 뇌가 항상 활동을 계속하기 때문에 노폐물이 배출되지 않고 쌓이게 되는 거죠.

 

자고 있을 때의 상태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뇌가 깨어 있는 상태에 가까운 '렘수면'과 깊어지거나 얕아지는 '논렘수면'입니다.렘수면 중에는 뇌가 활발하게 작용하고 있어 기억의 정리와 정착이 이루어집니다.잠을 자면 먼저 깊은 논렘 수면이 되고, 1시간 정도 지나면 조금씩 잠이 얕아져 렘수면으로 이행됩니다. 그 후 약 90분마다 논렘수면과 렘수면을 3~5회 정도 반복하고 눈을 떠요.

 

새로운 정보를 많이 접했을 때, 우리는 렘수면으로 그 정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공부나 일 때문에 머리를 자주 쓰시거나 스포츠로 능력을 키우고 싶으신 분들은 렘수면을 많이 취하시기 바랍니다.

 

2. 수면 부족이 계속되면 어떻게 될까요?

수면부족이 지속되면 뇌가 유지보수되지 않아 집중력 저하나 주의유지의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또, 감정의 컨트롤을 할 수 없게 되고, 사람의 표정을 이해할 수 없게 되고, 공격적이 되고, 자기 평가가 떨어지는 등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뇌를 쉬게 하기 위해서 이상적인 수면 시간은 6~7시간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드물게 단시간 수면으로도 활동할 수 있는 짧은 수면활동을 가진 사람도 있지만, 100명당 1~2명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6~7시간 이상의 수면이 필요합니다.

 

한국의 수면 부족은 직장인 1인당 1,600만원의 경제 손실'이라는 데이터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6시간이나 잠을 못 잤던 사람이 7시간 동안 잘 수 있게 되면 이 손실은 없어진다고 합니다. 또 인간이 정말 각성해 있을 수 있는 시간은 일어난 후 12~13시간까지.즉, 아침 7시에 기상한 경우 저녁 7~8시에는 한계가 와 있습니다. 기상 후 17시간 이상이 지나면 음주 시만큼이나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버립니다. 머리를 사용하는 작업은 오전 중에 시작하도록 하면 일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2023.05.29 - [건강 이야기] - 졸음에 앞서 조절할 수 있는 " 계획수면" 이라는 것은?

 

졸음에 앞서 조절할 수 있는 " 계획수면" 이라는 것은?

한낮의 졸음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기 전에 원래 야간 수면이 충실한지 여부는 어떻게 판단하면 좋을까요? 전문가들은 우선은, " 수면의 양 " 이 부족한지 아닌지를 의심하라고 합니다. 수

moneycomehome.tistory.com

2023.05.29 - [건강 이야기] - 일상의 졸음 대책 5가지 - 커피가 아니어도 괜찮아 물로도 O.K

 

일상의 졸음 대책 5가지 - 커피가 아니어도 괜찮아 물로도 O.K

전날 저녁 잘 잤는데도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고 아침 출근길에 버스에서 지하철에서도 꾸벅꾸벅, 점심을 먹고 난후도 꾸벅꾸벅 이런 생활에 지치지 않으셨나요? 한낮의 졸음을 어떻하면 좋을까

moneycomehome.tistory.com

2023.05.29 - [건강 이야기] - "꾸벅꾸벅"졸음 격퇴! 수면 전문가 가르치는 졸음 해결방법

 

"꾸벅꾸벅"졸음 격퇴! 수면 전문가 가르치는 졸음 해결방법

점심 식사 후나 회의 중, 운전 중 등 낮 동안 맹렬한 졸음에 휩쓸리는 일은 없습니까? 그러면서도 밤에는 좀처럼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 아침잠이 잘 깨지 않는 경우도….일이나 공부 등의 퍼포먼

moneycomehome.tistory.com

2023.05.29 - [건강 이야기] - 잠 못 이루는 밤에 잠을 잘 자는 효과적인 대처법 알아보기

 

잠 못 이루는 밤에 잠을 잘 자는 효과적인 대처법 알아보기

1. 좀처럼 잠들지 못할 때의 대처법 잠들지 못하는 원인과 수면 메커니즘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실제로 좀처럼 잠들지 못할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이 경우의 대

moneycomehom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