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빚에 허덕이는 20대, 자영업자, 사회

by 여행을 떠나 2023. 8. 27.
728x90
반응형

2019년 코로나 이후 부동산시장의 활황과 주식시장의 폭등, 코인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빚을 내서 투자하는 사람들이 유행처럼 증가했다. 특히 부동산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오르게 되자 20대 ~ 30대는 지금이 아니면 다시는 집을 살 수 없다는 말이 퍼지면서 "영끌 (영혼을 끌어모아서 대출) " " 빚투( 빚내서 투자)" 라는 말이 성행했다. 그러나 점차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기준금리가 하루가 멀게 오르기 시작했다. 이에 맞서 이자금리가 점차 오르게 되면서 이자도 내기 어려운 20대,30대가 증가했다. 

1. 빚 못 갚는 사람들 폭증

1. 연령대 별 개인워크아웃 원금 감면 확정자 숫자

2. 연도별 1인당 평균 감면액 ( 단위 : 백만원)

3. 연대별 소액생계비 대출 및 이자 미납률

취업률,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다른 세대에 비해 큰 타격을 받은 세대는 20대가 되었다. 고용률은 12만명이 줄었고, 연대별 소액생계비대출(100만원 이하) 이자 미납율은 전 세대에서 20대가 가장 안 좋은 상태였다. 이자인 단돈 8천원도 미납되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심각한 상태라고 한다. 20대의 취업도 양질의 취업처가 아닌 연봉 2천만원 내외의 직종, 아르바이트로 악화되어가고 있다고 한다. 

2. 취업자 현황 및 증감 요인 

1. 취업자 증감의 인구효과와 고용율 효과

2. 취업자 증감 요인 분해 ( 15 ~ 29세)

3. 급증하는 카드사 대환 대출 잔액

카드사의 대환 대출 잔액( 카드론을 연체한 고객을 재평가해 다시 대출을 내준 금액)이 작년보다 3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 카드대란 사태 2023년 현 상황
신용불량자 360만명 올해 2분기 가계 신용 잔액 1,862조 8천억원 
성인 8명당 1명이 신용불량 지난분기말 대비 약 9조 5천억원 증가
카드 빚 못 갚은 연체자 2년만에 3배 급증 채무 조정 신청자 6개월만에 9만여명 폭증
경제 범죄율 23.5% 증가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
자살율 26.5% 증가  카드 빚 연체자 급증
신용카드대출 금리 30% 고금리 법정 최고금리 수준인 리볼빙 사용자 증가 (15~18%)

채무조정 대상자 및 대출기관 유형은 신용카드사 > 대부업체 > 시중은행 > 저축은행 > 기타 순으로 2003년의 카드대란 사태에 버금가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여러 카드사를 통한 돌려 막기를 행하고 있다는 것이 1개의 계좌로 1개의 카드를 가지고 있는 비율이 6.4%에 불과했고 2 ~3개의 계좌가 18.7%, 4 ~9개의 계좌가 58.1%, 심지어 10개 이상 계좌 비율이 16.8%의 이르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로 인하여 2003년에 이어 제 2의 카드 대란이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발생하고 있다. 2003년 당시 카드업계 1위였던 LG카드가 이로 인하여 신한금융지주에 매각되었고 외환카드도 부실로 외환은행에 매각되었다. 이로 인하여 외환은행이 부실화 되어 우리가 잘 아는 론스타에 매각되는 지각변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3. 커져만 가는 가계 부채 및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8월 23일 한은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가계 신용(빚) 잔액은 지난 3월 말 대비 9조5000억원 증가한 1862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3.6조원)와 올해 1분기(-14.3조원) 빠르게 감소한 이후 3분기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가계 빚 증가원인은 부동산 시장 회복 기대가 확산됨에 따라 " 주택담보대출 " 이 가장 큰 규모였다. 가계 대출은 지난 6월 말 기준 10조 1천억원이 증가한 1748.9 조로 1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악성부채의 '온상'이라고 할 수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관련,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의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가 전체 대출의 2%인 31조원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은행 별로는 KB국민(11조원)·신한(8조9천억원)·하나(7조7천억원)·우리(3조3천억원) 순이라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