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금리가 낮은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찾는 요령

by 여행을 떠나 2024. 5. 7.
728x90
반응형

가계부채 1,875조, 기업부채가 1,000조원이 이르는 등 심각한 부채의 늪에서 경제 상황이 좋지 못하다. 미국이 2%의 물가를 유지하기 위해서 여러 노력을 하는 듯 하지만, 쉽지 않은 모양이다. 그로인해 미국의 금리가 5.5%에서 인하할 것이란 전망에서 장기간 동결될 것이란 전망도 있다. 그런 결과로 한국의 금리도 인상, 인하가 쉽지않은 상황이다. 경제불황으로 가계대출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거기에 대해 국제유가의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국제 곡물가 상승,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 등 여러 요인으로 하루 앞을 내다보기가 쉽지 않은 지경이다.

1. 주택담보대출 ( 주담대 ) 금리가 오르는 이유

주담대 금리가 오르는 가장 큰 이유는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방침 때문이다. 금융 당국이 올해 3월부터 가계대출 증가 속도를 늦추기 위해 나섰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은행들은 금융 당국에 올해 연간 가계대출 증가율을 2% 내로 관리하겠다고 보고했다. 신생아 특례대출 이용자가 빠르게 증가하는 등 가계대출이 늘고 있어서, 가계대출 수요를 낮추려면 결국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금리를 올리면 시중 자금이 빠르게 줄고 그런 결과로 좋지 않은 경제상황이 악화일로로 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 또한 쉽지가 않다. 

2. 금리가 낮은 주담대는 없는 것일까?

가. 주담대 대출금 상환 방식

주담대의 대출금 상환 방식은 크게 고정형과 변동형으로 나뉜다. 그 중 고정형은 다시 혼합형과 주기형으로 나뉜다.

a. 변동형 : 일반적으로 6개월마다 대출금리가 바뀌는 방식

b. 혼합형 : 초기 3년이나 5년은 고정금리적용하고 이후에는 6개월 단위로 금리가 바뀌는 방식

c. 주기형 : 5년 단위로 고정금리가 갱신되는 방식

 

주기형 주담대의 장점이자 단점은 금리 변동기에도 등락이 없다는 것이다. 5년 이내에 금리가 인상되어도 금리변동이 없지만, 금리가 떨어져도 내 금리에는 변동이 없다.

그런데 금융당국이 최근 은행권에 주담대 중고정형이나 주기형의 비중을 30% 이상으로 맞춰달라고 요구를 했습니다. 시장 상황이 불투명하니 고정금리 확대를 유도하는 겁니다. 그 때문에 주기형의 금리가 더 저렴하게 조정될 것이란 관측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