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2023년 청년도약계좌

by 여행을 떠나 2023. 3. 19.
728x90
반응형

1. 2023년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기준, 월(月), 5년 만기 >  

개인소득 본인납입한도 기여급지금한도 기여금매칭비율 기여금한도
2400만원 이하  70만원 40만원 6.0 % 2.4 만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6 % 2.3 만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3.7 % 2.2 만원
6000만원 이하 70만원 3.0 % 2.1 만원
7500만원 이하 비과세 비과세 비과세

 

  ※ 특정소득 기준 만 19∼ 34세 청년 + 정부기여금 + 비과세 (6000만원이하) 공통사항

                                만 19∼ 34세 청년      +                  비과세 (6000만원 이상  ~    7500만원이하)

 

 

2. 2023년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가구원수 중위소득 180% 이하
1인 3,740,205 원
2인 6,221,079 원
3인 7,982,668 원
4인 9,721,735 원
5인 11,395,238 원
6인 13,010,365 원

 

 

                 # 중위소득 ~ % =  기준 중위소득    ×  본인이 알기 원하는 백분위 ~ %

                   예1) 2,077,892 (1인)        ×  1.0 (100%)   =  2,077,892 원

                   예2) 2,077,892 (1인)        ×  1.8 (180%)   =  3,740,205 원

3.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 ※ 중복가입불가)

                                              공통사항  ------>    이자소득세 비과세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가입기간 2023.6 ~ 2025.12.31 2021.2 ~ 2024
대상 만 19 ~ 34 세  

<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미산입 >
소득기준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중위소득 180 % 이하
총급여액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납입기간 5년 2년
매칭비율 납입금액의 3 ~ 6 % 1년차 2 % , 2년차 4 %
(최대 36 만원)
정부기여금 월 최대 24,000원
144만원< 5년 >
만기시 최대 36 만원
금리 미정 은행별 5 ~ 6 %
특별해지 사망, 해외이주, 퇴직, 폐업
+ 생애최초 주택구입시 정부지원금 및 비과세 가능
사망, 해외이주, 퇴직, 폐업
 정부지원금 및 비과세 가능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 (재직)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지원상품 중복가능 

4. 신청 방법  -  지정된 요건을 갖춘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청년도약계좌 취급기관을 모집 예정, 선정

                         금융협회 홈페이지 공개 예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