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도?…최강 전파력 코로나 변이 출현, 인도 확진자 100배 폭증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팬데믹에 대한 관심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세계보건기구(WHO)가 새로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관심 변이’로 추가 지정했다. ‘아르크투루스’(Arcturus)라는 별칭이 붙은 오미크론의 변이인 ‘XBB.1.16’으로, 현재 전 세계 34개국에서 보고됐다. 미국 사례의 9.6%, 전 세계 사례의 4.2%를 차지할 만큼 빠르게 확산 중인 ‘아르크투루스’는 이전에 등장한 변이 바이러스보다 전염력 및 면역 회피 능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WHO의 코로나19 기술 책임자인 마리아 판 케르코베 박사는 “XBB.1.16은 XBB.1.5와 유사하지만 스파이크 단백질에 추가적인 돌연변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2. 전파력 높이는 코로나19 변이…끝은 어디일까
갈수록 복제 활발한 변이 출현하지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배출량보단 적어
전파력 더 높은 변이 출현 가능성 시사

3.“알레르기 아니었어?”…‘눈병’ 달고 온 코로나 새 변이, 이미 국내 유입됐다
최근 인도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 중인 코로나19 신종 변이 바이러스인 ‘XBB.1.16’이 이미 국내에도 유입된 것으로 파악됐다. 26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달 3주차까지 XBB.1.16 변이의 국내 검출률은 4.6%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XBB.1.16 변이가 지난달 9일 국내에서 처음 검출됐다”며 “현재까지 152건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XBB.1.16는 오미크론 하위 변이로, 목동자리의 가장 큰 별 이름을 딴 ‘아크투루스’(Arcturus)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지난 1월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뒤 강한 전파력을 띠며 확산 중이다. 인도에서는 하루 확진자가 지난 2월 100명대에서 최근 1만명대로 100배 이상 급증했다.
4. “코로나19, 세포결합, 사스 최대 1000배…HIV와 유사한 변이

▲ 전 세계를 감염의 공포로 몰아넣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형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제공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백질보충제 품질 평가 결과 (0) | 2023.05.13 |
---|---|
질병청 " 국내 코로나 위기단계 하향 조정 신속히 확정 " (0) | 2023.05.07 |
엠폭스(원숭이두창) 지역사회 확산 우려 (1) | 2023.04.17 |
식물성 초임계 rTG 오메가3 제대로 선택하는 방법 (0) | 2023.04.08 |
산양유 단백질의 10가지 효능 (0) | 2023.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