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The Great Gatsby"는 광란의 1920년대의 퇴폐와 과잉의 시대를 생생하게 표현한 소설이며 그 중심은 미국의 뉴욕을 배경으로 한다. 부유한 제이 게츠비와 뷰캐넌 부부인 데이지와 톰의 삶에 휘말리는 나레이터 닉 캐러웨이의 눈을 통해 사랑, 부(富), 아메리칸 드림의 주제를 탐구하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1922년의 여름으로부터 시작되며 가상의 도시인 뉴욕 에스트 에그의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닉은 낡은 집에 살면서 호화로운 별장에서 호화로운 파티를 열며 많은 손님들을 초대하는 게츠비를 이웃으로 둔다. 처음 가난한 게츠비와 사귀었던 데이지는 가난한 게츠비를 잊고 부유한 톰과 결혼한다. 톰은 정비공의 아내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데이지는 그러한 톰의 사랑을 받지 못한 것 때문인지 다시 게츠비에게 되돌아 간다. 어느날 게츠비의 차를 빌려 운전하던 데이지가 정비공의 아내를 치었고, 톰은 게츠비가 정비공의 아내를 차로 치었다고 정비공에게 이른다. 이 격분한 정비공이 게츠비를 총으로 사살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러나 게츠비의 장례식에는 아무도 참석하지 않는 쓸쓸한 장례식이 된다.
2. 본론
이 이야기는 돈을 모으기위해 뉴욕으로 온 중서부 출신의 청년 닉 캐러웨이(Nick Carryway)가 서술한다. 흥미로운 Jay Gatsby 및 부유한 사교계의 명사 Daisy Buchanan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Fitzgerald는 부유한 엘리트의 도덕과 가치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제공한다. 이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우리는 데이지가 학대하는 톰 뷰캐넌과 결혼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에 사랑했던 데이지를 되찾기 위한 화려한 파티를 열어 개츠비의 사랑을 찾기 위한 노력을 보게 된다. Fitzgerald는 캐릭터간의 관계를 통하여 사랑, 부, 아메리칸 드림(American Dreams)이라는 더 깊은 주제를 탐구하게 된다. Gatsby가 Daisy를 추구하는 것은 한 세대의 더 크고 성취되지않은 욕망의 상징이며 Daisy 자신은 American Dreams의 달성할 수 없는 이상을 상징하는 듯 하다. 이 작품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이 도덕적 타락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의 캐릭터와 그들의 경험을 통해 Fitzgerald는 부유한 엘리트의 공허함과 타락, 그리고 쾌락과 물질적인 부의 대한 공허한 추구를 폭로하게 된다. 가난한 군인에서 부자가 된 개츠비의 성장도 이 소설의 중심 주제가 된다. Fitzgerald는 아메리칸 드림과 누구나 노력과 결단력을 통해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비판한다. 그러나 개츠비의 부와 성공에도 불구하고 개츠비는 그가 사랑했던 데이지를 되찾지 못하고 결국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
3. 결론
위대한 게츠비는 사랑, 부,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주제가 계속해서 독자들에게 공감을 일으키기 때문에 관련성 있고 시대를 초월한 문학작품으로 남아 있다. Fitzgerald의 글은 사회와 결함에 대한 예리한 관찰과 개인의 가치와 도덕을 희생하여 부를 추구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특징이다. 그 성대하고 화려한 파티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면서 게츠비의 장례에서는 그가 사랑했던 여자 친구, 후견인등 어는 누구도 찾아 오질 않는다. 위대한 게츠비가 아닌 역설적인 초라한 게츠비의 이야기를 타이틀로 다룬 것이 아닌가 할 정도이다. 장례식은 쓸쓸하고 초라한 그 말 그대로 위대한 게츠비의 반어적인 표현이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위대한 게츠비는 미국문학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앞으로 여러세대에 걸쳐 계속적으로 읽히고 논의될 소설이 아닐까 생각한다.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탐구는 이 소설을 시대를 초월한 생각을 자극하는 소설로 만들고 특정 시대에 대한 논평으로 읽든 미국 사회에 대한 폭넓은 비판으로 읽든간에 인간 조건의 복잡성을 탐구하는데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 아닌가 생각한다. 현대와 과거는 뗄레야 뗼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인 것 같다. 물질적 풍요를 맛보고 있지만 이면의 정신적 세계는 도덕적 타락과 음모, 경제적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도덕적 윤리, 즉 물질만능주의인 아메리칸 드림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는 작품 중의 최고의 글이 아닌가 생각한다.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지의 제왕(The Lord of the Rings) (0) | 2023.02.07 |
---|---|
오만과 편견(Pride and Prejudice) (0) | 2023.02.07 |
1984 (0) | 2023.02.06 |
호밀밭의 파수꾼(The Catcher in the Rye) (0) | 2023.02.06 |
앵무새 죽이기(To Kill a Mockingbird) (0)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