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연예 이야기

(세계 압권) 가장 부유한 K-POP 스타 랭킹 5 ~ 1위

by 여행을 떠나 2023. 6. 20.
728x90
반응형

K-POP의 가수들은 국내를 벗어나 세계 각지에서 인기가 급상중이다. 그로인해 국내및 해외의 광고, 협연, 협찬이 세계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 아티스트들의 활약이 이어지면서 뉴스나 인터넷 매체등에서 메인으로 등장하는 등 그들의 하나하나의 행동들이 많은 팬들과 관계자들에게 주목을 끌고 있다. 그들의 소득 또한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다. 지난번에 이어 5위에서 1위까지를 소개합니다.

 

반응형

5위 V

V(본명 김태형)는 BTS의 두 번째로 젊은 멤버다. 소속사 하이브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솔로 음악 활동 외에도 한국 드라마에 출연해 모델로도 활약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서진이네" 에 출연해서 본격적인 TV 활동을 예고하고 있다. 서울 강남구에 소유한 고급 아파트는 455만달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4위 태양

태양(본명 동영배)은 빅뱅의 보컬 겸 댄서이며 솔로로도 활동중이다. 최근 새 앨범 "Down to Earth"로 컴백했다. 이 앨범에는 음악 장면에서 떨어져 있는 동안 그의 생각이 반영돼 있다.
태양과 아내 민효린은 최근 서울의 고급 주택지 장학파르크 한남에 약 1320만달러짜리 집을 샀다.
태양은 부동산과 YG엔터테인먼트 투자, 30곡 이상의 악곡 인세로 자산을 쌓아가고 있다. 2017년에는 부동산 투자로만 추정 4760만달러의 수입을 올렸다.

 

3위 비 (RAIN)

베테랑 가수 비(본명 정지훈)는 한국 청담에 있는 상가 건물을 매입가의 3배 이상에 팔고 있다. 아내 김태희와 함께 셀럽 부동산왕으로 알려져 있다.
6인조 그룹 "팬클럽"으로 데뷔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2000년대 솔로 데뷔를 했고, 이후에도 활기차게 활동을 하였으며 'Rainism', 'It's Raining', 'Love Story' 등 히트곡이 다수 있다

 

2위 G - DRAGON ( 지드레곤 )

지드래곤(본명 권지용)은 빅뱅의 리더이자 래퍼이며 음반 세일즈, 솔로 활동, 브랜드와의 엔도스먼트 계약 등으로 추정 순자산 3000만달러를 획득했으며 국내 음악업계에서도 유수한 자산을 자랑한다.
2006년 YG엔터테인먼트에 합류했고 2016년 포브스지 '30 UNDER 30 ASIA'에 선출됐다. 빅뱅은 멤버 중 한 명이 탈퇴해 현재 4인 체제를 갖추고 있지만 지드래곤의 인기는 시들해지지 않고 있다. 셀러브리티 넷 워스에 따르면 보유 자산은 주로 악곡 인세, 세계 각지 콘서트 투어, 샤넬 BMW 등 고급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이뤄진다.

 

1위 PSY ( 싸이 )

싸이는 '강남스타일'의 세계적 히트 이후 몇 년이 지난 지금도 래퍼 싸이(본명 박재상)의 순자산은 약 6000만달러로 한국 스타 정상에 군림한다.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는 유튜브 사상 최초로 조회수 10억뷰를 달성하며 K팝이 국제적인 현상으로 자리잡는데 일조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 곡의 인기 절정기에는 마돈나와 함께 공연했고 에펠탑 앞에서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과의 대면도 이뤄냈다.
싸이의 성공은 K-POP이 미국에서 인정받는 길을 열었다. YG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 종료 후 기획사 '피네이션'을 설립하였고 이 소속사와 처음 계약한 제시, 현아, 이동(현재는 동으로 활동)은 모두 이후 퇴소했다.

 

 

 

(세계 압권) 가장 부유한 K-POP 스타 랭킹 10 ~ 6위

ㄴK- POP 스타들의 부의 축적은 단순히 앨범 판매뿐만아니라 다른 아티스트들과 협업이나 광고 출연, 공연, 유투부 등의 수입과 개인사업도 겸업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스타들 간의 단순 비교

moneycomehome.tistory.com

 

 

(세계 압권) 가장 부유한 K-POP 스타 랭킹 15 ~ 11위

한국 가수들이 부르는 노래는 국내에서만 통용되었던 과거의 시절을 벗어나서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계속해서 젊고 유능한 가수와 그룹이 탄생하고 있으며 K-POP 이라는 새로운 장르로

moneycomehom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