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이은 우승 후보는 랭킹은 계속된다. 과연 어떤 나라가 이번 월드컵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리지 자못 기대가 된다.
1. 토너먼트에 올라갈 후보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
국가 | 스위스 | 호주 | 일본 | 스페인 | 미국 | 프랑스 | 스웨덴 | 독일 |
노르웨이 | 캐나다 | 스페인 | 잉글랜드 | 네덜란드 | 브라질 | 이탈리아 | 한국 |
2. 월드컵 우승 후보 랭킹
15위 이탈리아
여자유로 2022에서 뜻밖의 조별리그에서 탈락이 된 이탈리아는 월드컵에서 활약하여 꼭 명성을 되찾고 싶은 심정일 것이다. 4년 전 대회에서는 8강에 올랐으며 이후 국내에서는 크게 성장하고 있다. 그동안 많은 선수들이 챔피언스리그라는 큰 무대를 경험했다.
재능있는 선수가 즐비한 이탈리아는 스웨덴,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같은 조에서 2위로 조별리그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를 위해서는 나름대로 실력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14위 스위스
2023년 월드컵에서 스위스는 국제무대에 나와 진짜 실력이 있다는 증거를 보여줘야 하지만 이번 대회는 그 최대의 기회일 것 같다. 스위스는 조별리그 A조 톱 통과가 예상되고 있고 만약 그렇게 된다면 16강에서는 강팀이 별로 없을 것 같은 조 편성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아스널에서 뛰고 있는 리아 발티와 노엘레 말리츠, PSG의 라모나 라흐만, 챔피언스리그를 3회 우승한 아나마리아 츠르노고르체비치 등 경험 많고 재능 있는 선수들이 많아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것이다. 안타까운 것은 최근에는 성적이 부진해 대회 직전 7경기에서 한 번도 이기지 못했다.
13위 일본
FIFA 여자 월드컵에서 2011년 우승, 2015년 준우승을 차지한 일본은 여자 월드컵에서의 훌륭한 역사를 자랑하고 있을지 모르지만, 최근 8년 사이에 크게 바뀌어 버렸다. 유럽 각국의 포워드가 크게 성장해, 축구 강국의 대부분이 최고의 성적을 올리고 있는 반면, 일본 여자 선수들은 현상 유지가 고작이다.
그래도 재능 있는 선수들이 많아 2월에는 올림픽 챔피언 캐나다에 승리를 거뒀다. 일본도 상당히 어려운 조에 속하지만 조 선두는 스페인에 양보하더라도 잠비아, 코스타리카와의 2위 경쟁에서는 무난히 통과하리라 본다.
12위 덴마크
2017년 유로에서 준우승을 한 덴마크, 지난해 여름 UEFA 유로에서 덴마크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힘겨운 조 편성으로 독일, 스페인, 핀란드와 맞붙는 죽음의 조에 들어가 버렸다. 그러나 기대를 한몸에 받은 덴마크는 조 3위로 16강에 들어가지 못하는 아쉬운 성적을 받았다.
그로부터 1년, 젊은 선수들이 경험을 쌓았고 리더 페르닐레 하더가 최상의 몸상태이고 이번 대회에서는 추첨도 꽤 이득을 봤다. 부상자가 많은 잉글랜드와 선두 통과를 다투게 되겠지만 16강 진출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1위 노르웨이
노르웨이 팀은 스타의 소질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뛰어난 능력과 개성이 있는 캐롤라인 그레이엄 한센, 리옹에서 기록을 깬 스트라이커 아다 헤게버그, 어시스트 제조기 별명의 구로 레이튼, 아스널에서 센세이셔널을 일으킨 프리다 마눔 외에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수비형 미드필더 중 한 명인 잉그리드 엥겐도 있다.
하지만 수비가 약한 팀임은 분명하다. 지난해 여름 유로에서는 잉글랜드에 0-8로 참패했다.이후 감독이 교체되고 리옹의 전 감독이 취임했지만 그래도 최근 1년간 노르웨이는 아직 결과를 내지 못했다.
10위 스페인
스페인만큼 이번 대회에 조별리그 통과를 의문시한 팀은 거의 없다. 스페인 여자대표팀에서는 지난 1년 전대미문의 문제가 불거졌다. 그 결과 여자 월드컵 직전 최고의 선수들 15명이 대표팀 진출을 사퇴했지만 바르셀로나 스타 아이타나 봄마티와 알렉시아 푸테자스를 포함한 많은 선수들이 팀으로 돌아왔다. 여하튼 조를 선두로 통과해 16강에 진출해야 하는 스페인으로서는 천군만마를 얻은 것이나 다름없다. 그렇다고 해도 이 같은 선수들의 갑작스러운 복귀와 팀의 변혁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알 수 없다.
9위 브라질
브라질에 무엇을 기대해야 할지 말하기 어렵다. 올해는 독일을 2대 1로 이겼고 유로와 코파 아메리카 우승국이 맞붙는 대회에서는 잉글랜드에 승부차기에서 졌다. 2월 시빌리브스컵에서도 또다시 부진해 일본에는 1-0으로 이겼지만 캐나다와 미국에 지고 말았습니다.
브라질은 프랑스, 자메이카, 파나마가 있는 거친 조에 속하며 16강에 진출해도 선두 통과가 아니면 독일과 맞붙을 수 있다. 어쨌든 빛나는 스타가 나타나지 않으면 일찌감치 귀국할 수도 있다.
8위 네덜란드
이번 여자 월드컵에서 네덜란드는 어느 정도의 성적을 올릴 수 있을까? 2019년에는 준우승했지만 최근 4년간 크게 달라진 팀이다. 지난해 여름 유로에서는 새 감독으로 맞아 싸웠지만 이 잉글랜드 출신 감독은 8강 탈락이라는 안타까운 결과를 받아 해임됐다.
네덜란드 스타 선수이자 세계 최고 선수 중 한 명인 아스널의 공격수 비비안 미데머는 인대를 다쳐 대표로 뛰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그 밖에도 재능 있는 선수들이 많이 있고, 조합은 상대적으로 축복받은 팀 중 하나이기도 하다. 조별리그에서 미국을 꺾고 선두를 통과하면 길은 크게 열릴 것이다. 2위 통과라면 16강에서 난적 스웨덴이 될 가능성이 높다.
7위 캐나다
현 올림픽 챔피언 캐나다는 이번 대회에서 가장 다루기 쉬운 조에 속했다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공동개최국 호주, 늘 문제를 안고 있는 나이지리아, 여자월드컵 첫 출전 아일랜드와 같은 조다.
경험 많고 훌륭한 경력이 있는 캐나다는 조별리그 1위 통과가 예상되겠지만 이후는 쉽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2위로 통과하면 16강에서 잉글랜드와 맞설 가능성이 높고 이후 8강에서는 독일이 상대할 수도 있다.
최근 5경기에서 불과 1승밖에 거두지 못한 캐나다는 많은 득점을 거둬서 자신감을 되찾을 필요도 있을 것이다.
6위 오스트레일리아
개최국 호주는 재능있는 선수가 즐비해서 토니 구스타프손 감독은 그야말로 절호의 타이밍에 팀을 최고의 상태로 이끌고 있는 것 같다. 호주는 4월 잉글랜드를 꺾었는데, 이는 지금까지 최고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홈 관중들의 성원에 힘입어 조별리그를 정상 통과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할 것 같다. 그렇게 되면 잉글랜드 대표팀과 다시 경기를 벌일지 모르지만 몇 달 전 승리와 같은 결과를 16강에서 낸다면 자신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 후 호주가 8강전에서 만날 강적 프랑스나 독일이 될 것 같아 호주의 미래도 그리 밝은 것만은 아니다.
5위 잉글랜드
지난해 여름 유로 2022를 우승한 잉글랜드는 2023 여자 월드컵에서도 우승 후보국중의 하나인 국가이다. 하지만 1년이 지난 지금 부상으로 3명이나 주전 선수가 빠졌다. 라이트백인 루시 브론즈와 수비수 밀리 브라이트는 주목할 선수이다. 또한 미드필더 스탄웨이는 위협적인 중거리 슛과 득점력을 가진 선수이다.
그 밖에도 재능 있는 선수가 많은 것은 틀림없지만 사리나 비후먼 감독이 이끄는 잉글랜드는 이번 대회에서 힘든 상대와 맞붙게 돼 있다. 아이티, 중국, 덴마크와의 조별리그에서는 정상 통과하겠지만 16강에서는 호주, 캐나다와 8강에서는 독일과 맞붙을 것으로 보인다. 상당히 힘든 길이 될 가능성이 높다.
4위 스웨덴
지금까지의 큰 대회에서 스웨덴은 몇 번이고 아쉬운 고배를 마시며 눈물을 삼키고 있었다. 지난해 여름 유로와 2019년 월드컵에서는 준결승에 머물렀고 2016년과 2020년 올림픽에서는 결승전에서 패했다. 주요 대회 우승 경험이 아직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올해는 어떤 대회가 될 것인가? 피터 게아르트손 감독이 이끄는 스웨덴은 비교적 편한 조에 속한다. 아르헨티나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비교적 쉬운 상대이고 선두 통과의 최대의 고비가 될것 같은 이탈리아는 유로에서 전혀 좋은 점을 보여 주질 못했다.
그렇게 되면 16강에서 맞붙을 것 같은 상대팀은 네덜란드와 최근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스페인이다.
3위 미국
미국 여자 월드컵 선수들이 이번 대회를 이겨 나가려면 산더미 같은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은 틀림없다. 하지만 현 세계 챔피언인 미국은 포르투갈과 베트남에는 쉽게 이겨 나갈 것이고 네덜란드가 최대의 난적이 되겠지만 조별리그에서 1위로 통과한다면 무난히 결승까지 가지 않을까 생각한다.
2위 프랑스
일부 선수들의 대표 사퇴와 숱한 논란을 거쳐 감독이 해임된 뒤 올 여름 프랑스는 사우디아라비아 남자축구대표팀 감독 출신인 에르베 르나르 감독을 선임했다. 주전 선수 몇명이 부상으로 빠져 전력 손실이 있다. 하지만 PSG에서 카트 대신 골을 양산하고 있는 카디디아투 디아니가 최고의 실력을 뽐냈고 디아쿠르 전 감독 밑에서는 대표팀에 선출되지 않았지만 리옹의 유럽 제패 일등공신 우제니 루소메도 대표팀에 복귀했다.
프랑스는 브라질, 자메이카, 파나마 1위로 조별리그를 통과할 것이 확실해 이후 16강에서는 다른 강호국 몇 곳과 비교하면 수월한 길을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결승에서 독일과 맞붙게 될 들 하다.
1위 독일
독일은 콜롬비아, 모로코, 한국이 있는 H조에서 확실히 1위로 조별리그를 통과할 것이다. 마르티나 보스 테클렌르크 감독이 이끄는 독일은 지난해 여름 유로에서도 멋진 활약을 펼쳤고 1년이 흘러 독일은 더욱 강해져 있다. 7월에 브라질과 잠비아에게 패하자 눈쌀을 찌푸리는 팬들이 있지만 월드컵이 시작되면 확 달라진 모습을 보여줄게 분명하다.
2023년 호주/ 뉴질랜드 여자 월드컵 우승 후보는1편?
2023년 여자 월드컵이 호주와 뉴질랜드의 공동 개최로 7월 20일~ 8월 20일까지 한달여간 뜨거운 경쟁을 벌인다. 여러가지 소동을 일으키고 대대적으로 선전된 이번 여자 월드컵이 지난 7월 20일부터
moneycomehome.tistory.com
2023년 호주 뉴질랜드 여자 월드컵의 유명 스타 선수
스포츠 선수들에게는 항상 따라 다니는 것이 팬들이다. 뛰어난 실력과 더불어 뛰어난 외모가 뒷받침 되면 수많은 팬층이 형성되기 마련이다. 오늘은 2023년 호주 뉴질랜드 여자 월드컵의 축구 선
moneycomehome.tistory.com
'스포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뉴질랜드 여자 월드컵 축구 과연 누가 우승을 할까? (0) | 2023.07.27 |
---|---|
2023년 호주 뉴질랜드 여자 월드컵의 유명 스타 선수 (0) | 2023.07.26 |
2023년 호주/ 뉴질랜드 여자 월드컵 우승 후보는1편? (0) | 2023.07.21 |
2023 일본 여자 프로 골퍼 미인 랭킹 (0) | 2023.07.16 |
2023년 압도적인 한국의 인기 여자 골퍼 TOP10 (0) | 2023.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