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에너지 캐시백 - 6월 7일부터 신청

by 여행을 떠나 2023. 5. 26.
728x90
반응형

에너지 절약 캠페인

날씨가 점점 더워지고 있습니다. 날씨가 더워지는 만큼 월급도 뜨겁게 올랐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지난 5월 15일 산업통상부는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인상안을 발표했습니다. 1분기 전기요금 13.1원을 인상을 했지만 2021년 이후 한전의 누적적자가 45조원이라는 상황에서 또다시 재인상을 고려하다가 2분기 중반에 이르러 전기요금은 Kwh 당 8원 인상, 가스요금은 1MJ 당 1.04원 인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 겨울 난방비 폭탄으로 가스요금을 인상하지 않다가 이번에는 전기, 가스요금을 동시에 인상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인상으로 인해서 전기요금은 4인가족 (332kwh) 기준으로 3,000원 인상, 가스요금은 (3,861MJ) 기준 4,400원이 인상될 듯 합니다.

 

반응형

1. 에너지 캐시백이란 ?

누구에게나 유익하고 지구를 지키는 방법은 "에너지 절감" 뿐이라는 차원에서 전국 일반 가정에서 전기 절약에 참여한 후, 실제로 주변 단지, 세대에 비해 전기 사용량이 줄어든 경우 절감량에 해당하는 비용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전기 사용량은 6개월 단위로 집계되고, 절감률이 최소 3%이상일 때 해당 비용이 지급되는데 이 제도는 2022년 7월부터 전국으로 확대실시 되고 있습니다. 

 

2. 신청시기 ( 1년 상반기, 하반기 나눠 2회 )

상반기 신청 : 1월 30일 ~ 2월 28일까지 

하반기 신청 : 6월 7일부터 신청 

 

에너지캐시백 신청일정

 

3. 신청대상

에너지 절약에 대한 의지가 있는 전국 일반 가정중 주택용 전기 사용자

아파트단지 - 고압 아파트 및 오피스텔의 입주자대표회의 또는 관리사무

개별가정 - 가족 구성원 중 1인 또는 전기사용 계약자 중 본인 

 

4. 지급대상 / 지급기준

가. 캐시백 대상 - 최소절감률(3%) 및 한전 사업소별 평균 절감률보다 높은 절감률을 달성한 참여자 

* 아파트단지는 참여 아파트단지와, 개별가정은 참여개별가정과 각각 비교

절감량 산정 - 과거 2년간 동기간 평균 사용량 – 절감 활동기간 사용량

* 과거 1개년 전기사용량만 있을 경우 1개년 적용

 

절감률 산정  : (달성 절감량÷과거 2년간 동기간 평균 사용량)×100

평균절감률 산정 - 한전 사업소별 참여 아파트단지, 개별가정의 전체 절감량을 기준으로 계산사업소별 참여자 전체의 총 절감량 ÷ 과거 2년 총 평균사용량

 

나. 캐시백 지급기준 

① 개별가정  - 절감량(kWh)×30원

② 아파트단지 - 절감량 기준 구간별 정액 지급

*단지 내 개별가정이 캐시백을 지원받은 절감량 제외

에너지 절감량 기준

③ 지급한도  -  절감률 30%에 해당하는 절감량만큼만 지급

④지급방식 - ‘현금, 전기요금청구서, 기부’ 중 선택

 

728x90

 

캐시백산정방법 및 계산방법예시

5. 전기요금 줄이는 작은 실천

가. 절전모드 사용 권장 - TV, 컴퓨터, 조명 등 사용하지 않는 제품은 절전모드 및 소등

나. 전기세 누진제 피하기 - 사용량에 따라 가파르게 오르는 구간 ( 2구간) 이내로 사용량 조절이 효율적

다. 고효율 LED 조명사용, 고효율에너지등급 가전제품사용, 개인적인 절약습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