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생시기 - 1980년 5월 18일에서 27일까지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에서 일어난 주요한 민주화 항쟁이었다. 1979년 전두환 장군을 중심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나라를 장악한 군사독재에 대한 대응이었다.
2. 원인 - 신군부의 12.12 군사반란, 5.17 내란에 대한 저항, 계엄군의 폭력적 시위진압
배경:
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후 권력 공백이 생겼다. 그해 12월 전두환 장군이 쿠데타로 정권을 잡고 계엄령을 선포하면서 반대파를 탄압하고 시민의 자유를 정지시켰다. 이것은 전국적으로, 특히 학생들과 노동조합 사이에서 광범위한 시위와 파업으로 이어졌다.
원인:
1980년 5월 광주 전남대학교 학생들은 정부가 대학을 폐쇄하고 새로운 기관으로 대체하기로 한 결정에 항의하기 시작했다. 시위는 빠르게 커져 더 큰 정치적 자유와 군사 통치의 종식에 대한 요구를 포함했다. 1980년 5월 18일, 정부는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고, 이는 시위자들과 폭력적인 대립으로 이어졌다. 광주 학살의 1차 책임은 계엄군이 아닌 최종 결정권자이자 명령권자인 전두환과 군정에게 있다.
3. 교전세력 - 하나회, 계엄사령부(국방부), 내무부 치안본 VS 시민군(광주)
모든 계엄군이 일괄적으로 범죄를 저질렀다고 볼 수는 없으나, 여러 증언과 자료를 종합하면 당시 계엄군의 만행은 심각한 수준에 달했다. 이는 어느 정도는 반공주의라는 지배 이데올로기에 부합한 결과이며, 이른바 자기합리화와 PTSD 집단광기의 사례로 볼 수 있다고 한다.
4. 관련자료 - TVN 방송분
5. 사진
6. 인적피해 - 현재 추정되는 피해 사례
군인 23명, 경찰 4명 사망
군인 115명, 경찰 138명 부상 |
시민 165명 사망
76명 실종 3,515명 부상 |
'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회의원 역대 선거 결과 (0) | 2024.04.10 |
---|---|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0) | 2024.04.08 |
댓글